30. Wish/ As if(though)/ Otherwise/ Like 가정법 한번에 정리!
1. Using As if/ As though
as if/ as though를 사용해서 가정의 상황을 말하는 건데요, 둘 다 같은 의미이니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됩니다.
a. It looks as if (=as though) it is going to rain.
b. It looks like it is going to rain. (a. 보다는 informal 하지만, 회화에서 간단하게 즐겨 사용합니다.)
a. 문장처럼 사용하시면 되는데, b문장처럼 like를 사용하여 얼마든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informal 하다고 해서 비격식이라고 무조건 사용하면 안 되는구나 생각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생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즉 말로 간편하게 사용이 많이 된다는 뜻입니다. 문서상에는 as if(=though)를 써주는 것이 상대적으로 formal 하다는 이야기이니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해석은 '마치 ~처럼 그러하다'라고 해주시면 됩니다. 현재 비가 오지는 않지만 구름도 잔뜩 껴서 흐리고 우중충한 날씨에 대고 "마치 비가 올 것처럼 보이네요."라고 말해줄 수 있겠죠. 이런 것이 다 가정법이니 일상에서 회화로 많이 만들어 볼 수 있을 겁니다.
그럼 "T와 Untrue 가정법"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가정을 하려면 사실과 반대로 이야기하는 경우니까 두 가지 조건에서 아래와 같이 문장을 만들어 볼 수 있을 겁니다.
“True 가정”
a) It looks like rain.
b) It looks as if it is going to rain.
c) It looks as though it is going to rain.
d) It looks like it is going to rain.
“Untrue 가정”
a) He is not a child. ▶ She talked to him as if he were a child. (그녀는 마치 그 남자를 애 취급했다)
b) He has met her. ▶ He acted as though he had never met her. (그는 마치 그 여자를 못 본 양 굴었다)
c) She will be here. ▶ She spoke as if she wouldn’t be here. (그녀는 그녀(다른 그녀임)가 여기에 없는 듯이 말했다)
2. Using Wish
Wish 의미를 영영사전에 찾아보시면 그중에 가정법의 사용정의로 이렇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 is used when the speaker wants reality to be different, to be exactly the opposite "
그러니 Wish를 사용하여 가정법을 사용할 수 있음을 명시해 두었습니다.
“Untrue 가정”
a) She will not tell me. ▶ I wish (that) she would tell me. (걔가 제발 나에게 말이라도 좀 했으면 좋겠어)
b) She can’t come tomorrow ▶ I wish she could come tomorrow. (내일이라도 걔가 오면 좋으련만)
c) It is raining. I wish it would stop. (비 좀 그만 오면 좋으련만)
d) I can’t speak English.▶ I wish I could speak English. (내 소원이 영어로 말 좀 해보면 좋겠다)
e) Mary couldn’t come yesterday. ▶ I wish Mary could have come.(Mary가 왔으면 좋았으련만)
f) I don’t know her, but I wish I did. (걔를 모르지만 알았으면 좋겠는데)
g) I’m not at home, but I wish I were. (나 집에 없는데 집에 있었으면 얼마나 좋아. 에구 괜히 밖에 나와서 고생이네)
위 문장들 어떤 뉘앙스인지 아시겠죠? 가정법 사용하면 나의 아쉬움과 감정을 얼마든지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우리 이런 말 일상적으로 많이 하잖아요. ^^ Wish 하나 가지고 이렇게 감정표현을 마구마구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신기하고 간단하지 않으세요? 저는 처음에 이 표현보고, 신기루를 발견하듯 했습니다. 그러고 나서는 마구마구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ㅎㅎ
그러면 이쯤에서 이런 의문이 들 겁니다. hope의 의미의 일반적인 wish와 가정법의 wish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궁금하실 거예요. 답은 간단합니다. wish라고 사용했는데 뒤 절이 과거로 한 발 물러나 있으면 아쉬움을 토로하는 가정법의 뉘앙스가 된다는 것이죠. 이게 아니라 시제 일치 사항이면 일반적인 '바란다'의 wish를 사용한 겁니다. 아래 일반적인 의미의 wish 예문 보시죠.
Cf) wish를 가정으로 쓰지 않고 일반적으로 표현할 때는 일반적인 문장으로 표현하면 된다.
a) I wish to be a teacher. (wish to VR = would like to VR)
b) We wish to apologize for this. (wish to VR = would like to VR)
c) 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Hope)
d) I wish you a safe trip. (Hope)
3. Using Without/ Otherwise
a. I never would've succeeded without your help.
▶너의 도움이 없었다면 난 절대 성공하지 못했을 거야.
b. She ran, otherwise, she would've missed her bus.
▶ 걔가 달리지만 않았다면, 아마 버스 놓쳤을 거야.
If절이 없어도 얼마든지 가정의 말을 할 수 있습니다. without과 otherwise를 가지고 얼마든지 조동사의 뉘앙스와 함께 아쉬움을 나타내니 가정법 문장이 가능합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it's time that 가정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