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준동사 의미상주어 의미와 예문 완전정복!
지난 시간에 준동사 to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의미와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to부정사와 동명사 의미상의 주어에 대해서 알아볼 겁니다. 의미상주어란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주어 자리는 아닌데 의미(해석)가 주어와 같아서 꼭 한 문장에 주어가 두 개 쓰인 것처럼 있다 하여 진짜 주어와 구분을 위해 의미상주어라는 말을 만들었습니다. 용어만 어려울 뿐 내용을 보면 별거 아니니 같이 한번 보시죠.
▣ '내가 가는 것' 이걸 영어로 어떻게 말하지요? 바로 의미상의 주어를 사용하는 겁니다. 주어로 바로 사용해서 I to go라던지, I going 이라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잖아요. I라는 주어 다음에 동사가 와야 하는데 I go는 '나는 간다'이지 '내가 가는 것'이라는 말로는 표현을 못하니 형식을 하나 만들어 줬다는 겁니다.
I (X) to go( 또는 going) : '내가 가는 것' ???
▶ '내가'라는 말을 하고 싶다고 해서 주어자리 I를 써서는 안 됩니다. 그렇다면 '내가'라는 말을 어떻게 표현할까요?
바로 to부정사를 사용할 때 3가지 방법과 동명사(Ving)를 사용할 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의미상주어 형식 ]
※ to부정사와 같이 쓰는 방법 3가지
1) for + 목적격 (ex. for me) ▶일반적인 경우에 쓰임
2) of + 목적격 (ex. of me) ▶ 특별한 경우에 쓰임
3) 목적격(ex. me) ▶ 특별한 경우에 쓰임
※ Ving와 같이 쓰는 방법 2가지
1) 소유격(ex. my)
2) 목적격(ex. me)
▶ 1) 또는 2) 번 둘 중 하나 상관없이 선택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그러면 형식을 가지고 본다면 '내가 가는 것'이라는 표현은 'for me to go' 또는 'my going 또는 me going'이 되겠네요. 예를 들어 문장으로 '그는 내가 거기 가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라는 말을 영작하고 싶다면 'He said (that) it is dangerous for me to go there."라고 말해주시면 되겠네요.
아직 형식만 봐서는 잘 못 만드시겠다고요? 아래 예문으로 의미상주어 연습해 봅시다.
1. 거기 가는 건 너무 위험해.
▶To go there is dangerous. (이런 구조는 선호하지 않음)
▶Going there is dangerous. (Writing 할 때 동명사를 사용하여 간결한 문장을 선호함)
▶It is dangerous to go(going) there. (회화에서 선호함 : 하고 싶은 중요한 말은 먼저 말함)
To go there로 시작하는 문장구조는 일반적으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To go there가 문장 앞에 쓰는 정도는 괜찮습니다. 하지만 to부정사의 구 길이가 길어졌을 때는 맨 앞에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고 It is라는 비인칭주어(아무 의미는 없지만 S+V 형식을 맞추기 위해 넣어서 사용)를 넣어 to부정사를 문장 맨 뒤로 빼서 It is ~~~ to부정사 구조로 사용을 해줍니다.
2. 애들이 가는 건 너무 위험해.
▶It is dangerous for childern to go there. (to부정사 to go를 썼을 경우)
▶It is dangerous childern(or children's) going there. (동명사 going을 썼을 경우)
1번은 의미상의 주어가 없고, 2번에서는 '애들이 가는 건'이라는 의미상의 주어를 사용하여 비교해보시라고 예문을 넣었습니다.
카카오톡 '그냥영어 개인과외 문의' 아래 ↓↓↓↓↓ (모바일: 카카오톡오픈채팅에서 '그냥영어과외' 검색)
그냥영어과외(1:1개인맞춤과외)
open.kakao.com
2)번에서 제가 특별한 경우에 사용한다고 명시를 해두었죠. 바로 의미상의 주어의 성질, 성향을 나타내는 말은 for+목적격을 안 쓰고 특별하게 of+목적격의 형태로 사용합니다. 이건 정해진 형식으로 암기해주셔야 합니다.
<of + 목적격 표현>
1. 애들이 거기에 가는 것은 무례하다.
--> It's rude of children to go there.
아래 예문 많이 보셨을 겁니다. 특히 우리는 kind of you 많이 외웠던 기억이 나실 거예요. you가 바로 의미상의 주어로 사용 가능했던 겁니다.
It's kind of you. (= You're so kind.라는 표현으로 kind를 강조해 주기 위해서 앞에 나왔다.)
It's rude of you. 무례하구나.
It's stupid of her. 그 여자 약간 돌았나 봐.
그럼 응용이 가능하겠지요. "그 남자가 그 짓을 하다니 정말 멍청하구나"는 영어로?
"It's stupid of him to do that." 이제 영작 가능하시겠죠?
3)번처럼 목적격만 사용하여 의미상의 주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특별하게 사용이 됩니다.
바로 동사에 따라 달라집니다. 동사가 목적어를 바로 취하는 동사만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죠.
대표적으로 want라는 동사가 있습니다. 이런 동사가 참으로 많으니 항상 영어 문장을 보실 때 동사 다음에는 어떤 구조로 쓰이는지를 염두에 두시고 공부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목적격 표현>
1. 나는 네가 거기 가는 것을 원해.
▶ I want you to go there.
▶여기서 want는 '~을 하게 하다'라는 표현
I want for you to go there (X)이라고 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유는 want라는 동사는 for이라는 전치사 없이 목적어를 바로 들고 나오는 동사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럼, 부정문은 어떻게 만들까요? 매우 간단합니다. to부정사와 동명사 바로 앞에 not 만 붙여주시면 끝이에요.
[ 부정어 자리 ]
1) not to VR
2) not Ving
ex) It's kind of you not to go there. : not의 자리 확인해 주세요.
그럼, 마지막으로 하나 더 해볼게요. 우리가 자꾸 문장을 만들 때 현재시제나 과거 단순한 시제만 가지고 문장 연습을 하시는데, 그렇게 되면 우리가 여태까지 배운 12가지 현재, 과거, 미래에 대한 시제 사용은 가물가물 하실 거예요. 그중에 의미상주어를 넣어서 지난 일도 나타낼 수가 있어야 합니다. 아래 예문을 보시죠.
★ <지난 일 표시> ▶해석 : (그전에 먼저) ~ 했던 것 : to have p.p.
1. He wants me not to do the job. ▶그는 내가 그 일을 하지 않기를 원한다.
2. He seems to have done the job. ▶그는 그전에 먼저 그 일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걔 그 일 먼저 해봤나 봐.)
3. He insisted on my having gone there.
▶걔가 계속 그러더라. 내가 그전에 거기를 먼저 가봤다고.
▶부정표현 : He insisted on my not having gone there.
4. He insisted on my having seen the movie.
▶ 걔가 계속 그러더라고. 내가 그전에 먼저 그 영화를 봤다고.
오늘 의미상주어, 거기다가 부정문까지 만들어보았습니다. 기본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을 겁니다. 시제가 안되면 지난 일도 만들 수 없고, 부정을 한 번도 내 입에서 뱉어보지 않았으면 이런 문장도 다채롭게 만들지 못할 겁니다. 항상 앞 단원의 시제부터 모르시거나 잊어먹었다 생각이 되시면 리마인드 차원에서 다시 여러 번 봐주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다음시간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