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관계사 that, what, which, who, 전치사+관계사 정리
관계사 that, what, which, who, 전치사+관계사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1. that : 사람, 사물 둘 다 가능합니다. 하지만 꼭 that을 써야하는 경우와 절대 쓰지 말아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
1) 꼭 that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
the first
the next
the only + N that ~
all
~thing
2) 절대 that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① N , (명사 다음에 콤마가 있는경우)
② 전치사
아래 that 예문을 보도록 합시다. 괄호( )로 표시된 that은 생략이 가능하다는 표시입니다.
1) I think (that) he is a good actor.
2) We know (that) the world is round.
3) That she doesn’t understand spoken English is obvious.
4) It is obvious (that) she doesn’t understand spoken English.
5) The only thing that looks good on me is you. ▶여기서는 that만 가능, which는 사용 불가함
6) It was the first time (that) I had seen him unshaven, the small white whiskers looking so out of place, as if someone had shaken salt neatly across his cheeks and chin.
▶나는 면도하지 않은 상태의 그를 본 것은 처음이었어요. 작고 하얀 수염이 너무 엉망진창으로 보였으니까요. 그 모습은 마치 누군가가 그의 뺨과 턱에 소금을 가지런히 뿌려 놓은 것 같았거든요.(*out of place: 흐트러진, 엉망진창인)
2. what : N(X) what ~ (~ 것)
what은 앞에 명사(N)가 없는 형태고 뒷 부분은 관계대명사와 같이 주어,목적어,보어,전치사 다음 명사 중 자리 하나가 빠진 경우입니다.
아래 예문 보도록 할게요.
1) Here is what the weather will be like in our area today and tomorrow.
▶ 여기에 우리 지역의 오늘과 내일의 날씨가 어떨지를 보여줍니다.
2) That's what I like best about my job.
▶그게 내 일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야.
3. 콤마가 있는 관계사 (,which/ ,who)
N, who
N, which
콤마(,)를 쓰는 이유는 그다지 이 N가 궁금하지 않지만 부가적인 설명을 해주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소유격 N,
고유명사,
위 두 경우가 콤마와 잘 쓰여요.
1) John that lives in London is a doctor. ▶ 좀 어색한 문장이 됩니다.
▶ John, who lives in London, is a doctor. 처럼 써 주는 것이 보기 좋아요.
2) Charlotte and Morrie, who met as students, had seen married forty-four years. I watched them together now.
3) Dick's father, who(whom) everyone called Michael, has come to America to escape the Russian Army.
4. 전치사 + 관계사 : 관계대명사 다음에 불완전한 문장이 오는 것은 당연해요. (전치사 꼭 챙겨야함!)
바로 아래 예문을 보도록 해요.
1) 어젯밤 그 침대에서 잤는데 무지 불편했어.
▶The bed which I slept in last night wasn't comfortable.
▶전치사 in 빼먹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원래는 slept in the bed이어야 하는데 The bed를 앞으로 빼주었습니다.)
2) 내가 Tom하고 어젯밤에 통화를 했는데 Tom도 내 말에 동의했어.
▶Tom who I spoke to on the telephone last night agreed with me.
▶전치사 to 빼먹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 (원래는 spoke to Tom이었는데 Tom을 앞으로 빼주었어요.)
그럼 왜 이렇게 쓸까요?
그건 영어라는 언어를 잘 이해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앞 문장을 가지고 설명하자면, Tom 이라고 화두를 던져놓으면 듣는 사람은 궁금해 할 겁니다. Tom이 누구지? 걔가 뭐 어떠하다는 거야? 하고 말이죠. 그래서 Tom이 궁금하니까 뒤에서 꾸며줍니다. 응 그게 말이야 Tom이 나랑 얘기했던 사람이었는데 말이야. 전화통화로. 이렇게 영어라는 언어의 생각 구조를 이해해주시면 영어를 편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말 어디서 많이 듣지 않았나요? 맞아요. 분사구문에서도 제가 이렇게 설명했었죠. 그게 뒤에 문장으로 꾸미려고 하면 관계사를 들고 나오는 거고, 구(Phrase)로 들고 나와서 꾸며주면 분사의 형태를 들고 나오면 되는 겁니다.
그래서 사실 영어구조를 배우고 나면 정말 우리말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여러분들이 관계사까지 저와함께 따라오셨다면 기본적인 영어구조 문법은 다 배우신겁니다.
다음시간에는 관계사 완벽 총 정리하는 시간으로 많은 예문을 가지고 이렇게도 저렇게도 다양하게 만들어낼수 있는 관계사 형태 다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