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o부정사
- 영어원서읽기
- 영어듣기공부
- 준동사
- 영어문법
- 영어회화연습
- 미래시제
- 미드영어
- 기초문법
- 영어스피킹연습
- A long walk to water
- 수동태
- 영어스피킹 독학
- 영어리딩
- 영어구조
- 조동사
- 미드영어공부
- 영어동영상강의
- 영어듣기연습
- 관계사who
- 영어학습법
- Could
- 영어공부독학
- 혼자영어공부
- 찐제인쌤
- 영어회화공부
- 기초영문법
- if이외의가정법
- 영어스피킹
- 영어듣기
- Total
- Today
- Yesterday
목록영어구조 (5)
그냥영어

과거시제(단순과거시제와 과거진행시제)와 과거완료시제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had + p.p(과거완료) VS. was/were ~ing(과거진행)을 비교한 느낌은 아래와 같습니다. 1. I had studied english when my mom came in. ▶ 영어 공부가 끝나고 나서 엄마가 들어왔다. 2. I was studying english when my mom came in. ▶ 영어 공부를 하고 있는 중에 엄마가 들어왔다. 1번은 엄마한테서 칭찬을 못 받고 2번은 엄마한테 칭찬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는 '시간의 순서'라고 이전 챕터에서 언급을 드렸던 겁니다. 그럼, 단순과거와 과거진행시제에 대한 비교 예문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This ti..

지난 시간에 6편에서 단순현재와 현재진행형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죠. 그러면 현재시제에서 총 4가지(단순현재, 현재진행형, 현재완료, 현재완료진행형)이니 2가지(현재완료, 현재완료진행형)가 더 남았네요. 바로 현재완료와 현재완료진행형입니다. 그런데, 오늘 이 시간에는 과거완료(Past Perfect)와 단순과거(Simple Past)시제에 대해서 배워볼거에요. 왜 순서를 바꿨을까요? 우리말로 해보면 금방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단순현재와 현재진행형은 우리말에도 있는 표현이라 별로 어렵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오늘부터 진행하는 시제는 영어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법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현재완료나 단순과거, 과거완료도 '~했다'라는 의미로 같을 거에요. 그래서 언제 현재완료로 사용하고 언제..

1. 영문법은 자리결정의 문제다. - 서술어가 기준이 되어서 앞, 뒤를 결정한다. 주어는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준으로 두지 않는다. ※ 서술어 형태는 딱 3가지로 나뉜다. 1) has/ have/ had 2) is/ am/ are/ was/ were 3) 조동사 ※ S, O, C, V, (M) : 주어, 목적어, 보어, 동사, (수식어)로 문장은 구성이 된다. 2. 단어(words) 동사의 자리는 V(동사) (adj) --> 형용사의 자리는 N(명사)와 관련이 있다. (M : 수식어자리) (adv) --> 부사의 자리는 N(명사)와 관련이 없다. (M : 수식어자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It is true...

2편에서는 1편의 '영어구조화 입문' 섹션과 같이 봐도 좋습니다. 같이 병행해서 보시면 훨씬 실력이 빠르게 향상될 겁니다.물론 영어 입문생으로 일명 영어 초짜라면 1편을 가볍게나마 한번은 쭉~ 훑어보고 와야지만 쉽게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을 겁니다. 여기 2편에서는 제목 그대로 실전 연습을 해 볼 겁니다. 영어책이나 기사(딱딱한 표현을 선호하는 정통적인 신문지가 아니라 대중들이 많이 보고 많이 사용하는 대중신문이나 매거진, 사설 등)에서 입말(실제 사람들이 평상시 많이 사용하는 말)을 발췌하여 어떤 상황에 어울려 사용할 수 있는지 대중의 언어로 썰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재미있게 봐 주시고 실전에서 바로 써 먹는 영어 공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영어를 공부하기로 했다면 일단 싫든 좋든 영어가 어떻게 생겨먹은 언어인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라는 도구를 가지고 말로 하고, 글로 쓰고 듣고 싶다면 꼭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겁니다. 구조를 모르고서 무작정 교과서적으로 일관되게 패턴화하여 외우는 것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와 같은 행위다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김서방이라는 인물이 나이는 어떻게 되고 인상착의는 어떻게 되는지, 서울 어디에 사는지 등 찾을 수 있는 필요한 기본 정보는 꼭 알아야 내가 감이라도 잡고 찾기를 시작하듯이 영어라는 언어를 배우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쌩판 아무것도 모르고 무작정 외우면 술술 ~~ 언젠가는 말하게 되고 듣게 되리라는 쉬운 생각은 버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렇다고해서 과거의 중고등학교때 배운 딱딱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