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영어구조
- to부정사
- 영어원서읽기
- 영어스피킹 독학
- 영어학습법
- 준동사
- 영어리딩
- 관계사who
- 영어듣기연습
- 미드영어
- 미드영어공부
- 혼자영어공부
- 기초영문법
- Could
- 영어듣기
- 영어공부독학
- 수동태
- 영어회화공부
- 미래시제
- 영어스피킹연습
- 찐제인쌤
- if이외의가정법
- A long walk to water
- 영어동영상강의
- 조동사
- 영어문법
- 영어회화연습
- 영어듣기공부
- 영어스피킹
- 기초문법
- Total
- Today
- Yesterday
목록기초영문법 (11)
그냥영어

관계사 that, what, which, who, 전치사+관계사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1. that : 사람, 사물 둘 다 가능합니다. 하지만 꼭 that을 써야하는 경우와 절대 쓰지 말아야 하는 경우가 있어요. 1) 꼭 that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 the first the next the only + N that ~ all ~thing 2) 절대 that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① N , (명사 다음에 콤마가 있는경우) ② 전치사 아래 that 예문을 보도록 합시다. 괄호( )로 표시된 that은 생략이 가능하다는 표시입니다. 1) I think (that) he is a good actor. 2) We know (that) the world is round. 3) That she doesn’t..

관계사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알아보도록 해요. 관계사 역할은 크게 아래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형용사 역할 Do you know the happy woman talking to Tom who I went to high school with located in 신촌 where I was born? 분홍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명사가 궁금해서 뒤에 쭉 생겨난 말들이 있어요. 바로 who, where이라는 관계사다. 누구인지 궁금할 때는 who라는 관계사를 이용하여 절을 쓰고 어디인지 궁금할 때는 where이라는 관계사를 이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면 됩니다. 2. 관계대명사 역할 1) S(X) V O : 주어가 빠진 경우 2) S V O(X) : 목적어가 빠진 경우 3) S V C(X) : 보어가 빠진 경우 ..

Ving / Ved : 분사(형용사) ▶명사와 관련 있는 말이니 분사의 형태도 형용사입니다. Did you meet anyone interesting(O)/ interested(X) at the party? : 파티에서 재미있게 해주는 사람 만났어? ▶위 예문처럼 사람을 꾸민다고 해서 무조건 Ved(p.p. 형태)를 쓰는 것이 아니에요. 의미, 상황에 따라 다르니 Ving와 Ved에 맞게 어울리는 자리에 써먹어야 합니다. ♣ 감정동사들 : 어떤 제공되는 요인(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감정은 제공이 되기 때문에 수동의 형태를 이룹니다. excite : 흥분시키다 disappoint : 실망시키다 interest : 흥미있게하다 depress : 우울하게 하다 amaze : 놀라게 하다 annoy/ irri..

분사란 무엇인가요? 분사는 '형용사'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형용사라고 하지 왜 분사라는 말로 사용하는지 의문이 드실 겁니다. 원래 형용사는 '원래 사전에 있는 원형형태의 형용사+명사'의 형태로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죠. 예를 들어 a beautiful woman처럼요. 그런데 '분사는 동사에서 그 뿌리가 온 겁니다.' 영어에서는 원래의 형용사가 다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해서 원래 없는 형용사말을 만들어주려고 하다 보니 동사를 가지고 와서 아래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변형을 시켜 형용사역할을 하게끔 해주고자 한 겁니다. [ 분사의 형태 ] 1) Ving ▶ 동사원형+ ing (동명사라는 형태와 같다. 역할이 다를 뿐이다. 분사는 형용사역할이고 동명사는 명사역할이다.) 2) p.p. 둘 다 모두..

1. Using As if/ As though as if/ as though를 사용해서 가정의 상황을 말하는 건데요, 둘 다 같은 의미이니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됩니다. a. It looks as if (=as though) it is going to rain. b. It looks like it is going to rain. (a. 보다는 informal 하지만, 회화에서 간단하게 즐겨 사용합니다.) a. 문장처럼 사용하시면 되는데, b문장처럼 like를 사용하여 얼마든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informal 하다고 해서 비격식이라고 무조건 사용하면 안 되는구나 생각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생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즉 말로 간편하게 사용이 많이 된다는 뜻입니다. 문서상에는 as if(=th..

수동태 왜 쓰는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분, 몇 분이나 계시나요? 아마도 대답을 명쾌하게 하시는 분들이 많지는 않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이 부분에서 고민을 한 번도 해 본적이 없었다면 이번 시간에 한 번 생각해 보도록 해요. 먼저 수동태가 뭔지도 모르시는 분을 위해, 동사의 모양부터 만드는 순서와 의미는 대략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 동사의 모양 is/am/are/was/were/be/being/been + p.p. ▶ 수동태 문장 형식(모든 be동사 + p.p.) ※ 수동/ 능동 문장 만들기 1. She is playing the piano. : She라는 주체(주어)가 하나이고 이 주체가 서술어(동사) 앞자리면 능동이라고 한다. 2. He kissed her. : 주체는 he/she ..

과거 의미의 could와 was/were able to do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둘 다 우리말 의미는 '~할 수 있었다.'의 의미는 맞으나 서로 뉘앙스가 달라 주의해서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물론 서로 구조상으로 그대로 의미가 대체되기도 합니다. 그건 잘 아실 테니 과거의 의미에서의 뉘앙스 차이 위주로 설명을 드려볼게요. 1. 시제일치: Could + VR(동사원형) 2. 공손한표현 3. Could + have + p.p. : 후회와 아쉬움을 나타내는 과거표현 4. 가정법 ---> 가정법 편을 참고해 주세요.(27. ~ 31.번 강의 :가정법 편) 5. was/were able to VR 지난 시간에 16강에서 could의 느낌을 배웠죠? 아직 숙지가 되지 않았다면 반드시 16강 아래 클릭하셔서 ..

지난 시간에는 Can을 살펴봤습니다. 이번시간에는 Can과 Could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지난 시간 강의를 못 보셨다면 아래 클릭하셔서 꼭 읽어보고 오세요. 15. Modals 조동사 느낌을 살리고 살리고 ~~~ modals =>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라고 말한다. 사전 용어를 찾아보면, 도울 조[助]를 써서 보조동사를 의미한다. 보조동사란, 의미있는 일반동사의 풍미를 더 살려준 learninglanguage.tistory.com Can은 무조건 '~할 수 있다'만 알고 있었다면, '~해도 돼. ~하세요.'라는 의미도 알았으니 얼마나 유용하게 우리말로 해석이 가능한지 제 경험을 하나 예로 들겠습니다. 제가 오래전에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