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uld
- 미래시제
- 영어듣기공부
- 영어스피킹연습
- 영어구조
- 수동태
- 찐제인쌤
- 영어스피킹 독학
- 영어학습법
- to부정사
- 혼자영어공부
- 영어듣기연습
- 기초문법
- 영어회화연습
- 영어문법
- 관계사who
- 영어원서읽기
- if이외의가정법
- 영어듣기
- 영어리딩
- 영어회화공부
- 조동사
- 미드영어공부
- A long walk to water
- 기초영문법
- 영어스피킹
- 영어공부독학
- 미드영어
- 영어동영상강의
- 준동사
- Total
- Today
- Yesterday
그냥영어
16. 조동사 Can과 Could 차이, 비슷하면서도 뉘앙스가 다르다? 본문
지난 시간에는 Can을 살펴봤습니다. 이번시간에는 Can과 Could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지난 시간 강의를 못 보셨다면 아래 클릭하셔서 꼭 읽어보고 오세요.
15. Modals 조동사 느낌을 살리고 살리고 ~~~
modals =>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라고 말한다. 사전 용어를 찾아보면, 도울 조[助]를 써서 보조동사를 의미한다. 보조동사란, 의미있는 일반동사의 풍미를 더 살려준
learninglanguage.tistory.com
Can은 무조건 '~할 수 있다'만 알고 있었다면, '~해도 돼. ~하세요.'라는 의미도 알았으니 얼마나 유용하게 우리말로 해석이 가능한지 제 경험을 하나 예로 들겠습니다.
제가 오래전에 영화를 보러 갔었는데, 그 영화의 배경이 히말라야 산처럼 온통 눈이 휘날리고 주인공과 한 여자가 같이 등반하는 장면이 있었어요. 그런데, 그 여자가 부상을 당하고 도저히 추위와 자신과의 싸움에서 견디지 못해 죽어가려고 하는데, 주인공 남자가 여자를 붙들면서 "You can't die!!"하면서 울부짖는 장면이 나왔습니다. 그때 영화자막이 "죽을 수 없어!!"였거든요. 의미는 이해되지만 뭔가 어색함이 느껴지지 않으세요? 맞습니다.

두 번째 의미인 '~해도 돼.'를 응용하여 부정이니까 '~하면 안 돼.'라고 해석을 해주시면 좋겠죠. 잠시 오역이었을 겁니다. "죽으면 안 돼. 죽으면 안 된다고. 정신 차려!"라고 울부짖는 것이 맞겠죠?
그럼, Can의 친구 Could를 볼까요? Could 단순 과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할 수 있었다.'로도 쓰이고 현재로도 쓰입니다. 엥? 쌤요. 현재로요? 그럼, Can은 어쩌라고요? Can도 현재로 쓰잖아요. 헷갈려요. ㅠㅠ 하시는 분들 분명 계실 거예요.
현재에서는 Can이든 Could든 둘 다 사용 가능합니다. 단지 Could가 Can보다 좀 더 부드럽게 들린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Could>
1. 시제일치: Could + VR(동사원형)
2. 공손한 표현 (Can을 사용해도 되지만 Can보다 Could가 더 공손하고 예의 있는 뉘앙스로 들린다)
3. Could + have + p.p. : 후회와 아쉬움을 나타내는 과거표현
4. 가정법 ---> 가정법 편 참고(27.~31. 편)
5. was/were able to VR --> 다음 챕터에서 Can과 비교할 예정이다. 뉘앙스가 서로 다르다.
1번은 기본조동사의 공통사항이니 넘어가고, 2번을 살펴보자.
2. ① Could I borrow your pen? --> Can보다는 좀 더 공손한 표현이 된다.(can보다 could가 부드럽게 들리기 때문에)
② I could skip the class today. --> 오늘 수업 빠져야 할 것 같은데요.(같아요.)
③ Q : What would you like to do tonight?
A : We could go to the movies. : 영화 보는 게 좋을 것 같은데요.
3. Could는 단순과거로 '~할 수 있었다.'로 나타내지만, Could have p.p. 의 형식으로 사용하면 '~할 수 있었는데. 그때 왜 못했을까? 아~~~ 아쉽네.'의 뉘앙스까지 반영하는 과거동사이다. 뒤에 have+p.p.의 형식이 왔다고 해서 조동사의 완료(?)는 이 세상에 없다. 주의하도록 하자. 조동사 다음에 원형동사가 와야 하는데 아무 의미는 없지만 have라는 형식을 빌려오고(시제에서 완료로 have형식을 빌려오듯) p.p.는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후회를 나타내는 조동사의 과거표현이라 보면 된다.
You could talk to your teacher. : 선생님께 말씀드려보면 좋을 것 같아.
You could have talked to your teacher. : 선생님께 말씀드려 보지 그랬어. 왜 말씀 안 드렸어? 너무 후회되네.
이제 Can과 Could의 뉘앙스 헷갈리지 않겠죠? 다음에는 정말 아리달송한 Can = be able to do? 에 대해서 알아볼 겁니다. be able to do를 Can 대신에 사용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뉘앙스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래 표로 마무리해보시죠.
그럼, 호기심과 흥미진진함을 안고 다음 시간에 또 봐요.
'영어기초문법 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추측의 could 의미와 may, might 여러가지 뜻과 용례 완전정복! (may well, may as well 표현 포함) (0) | 2022.10.04 |
---|---|
17. 과거 의미의 could와 be able to do 한번에 비교! (0) | 2022.09.29 |
15. 조동사란? 조동사 can, may 의미 (0) | 2022.09.27 |
14. Future 미래시제 : Will과 be going to 차이점, 뜻이 다르다? (0) | 2022.09.27 |
13. 미래시제에 단순현재(Simple Present)형을 사용한다고?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