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영어

27. 가정법, 직설법, 명령법의 화법 비교 본문

영어기초문법 1편

27. 가정법, 직설법, 명령법의 화법 비교

찐제인쌤 2022. 12. 20. 05:40
728x90
반응형

영어에서 가정법(subjunctive mood)이라고 하면 벌써부터 머리가 지끈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가정법과 직설법, 명령법의 화법 뉘앙스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가정법의 과거, 현재, 미래가 있는데 시제 그대로 써주지 않고 과거는 과거완료로 현재는 과거로 미래는 현재시제로 써주면서 '만약에 ~했다면, 만약에 ~라면, 만약에 ~할 거라면' 이러면서 형식적인 것에 초점을 두고 공부하다 보니, 막상 영어회화에서는 기피하고 내뱉기를 꺼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정말 쉽게 풀어서 설명을 다 해드릴 테니, 찐제인쌤을 믿고 차근차근 읽어 내려가기 바랄게요. 그럼, 시작해 볼까요? 

 

우선, 가정법 하면 뭐가 떠 오르시나요?라고 질문을 드리면, 대개 'if' 로 시작하는 문장이요. 만약에 ~라면' 이런 답변을 많이 들었습니다. 물론 맞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 if 를 사랑한 나머지 다른 형태는 떠올리지를 않는대요. 

말 그대로 가정법을 가정이나 추측성, 진실이 아닌 것을 언급하고자 할 때 쓸 수 있는 말이면 모두 가정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추측성 발언이나 진실이 아닌 말로 언급할 때 조심스럽게 말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미 그런 느낌(mood)의 동사를 배웠습니다. 뭘까요? 네. 맞습니다.

바로 조동사(보조동사)입니다. 그중에서 could, would, should, might 생각나시죠? 만약 난 조동사를 can '~할 수 있다'라고만 언급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아래 링크 클릭하셔서 꼭 반드시 강의 보고 오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가정법이 어렵거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조동사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가정법 이해는 80% 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거든요. 조동사 강의만 무려 9개를 올렸어요. 진짜 다 클릭해서 공부하고 오시기예요. 아래 링크 걸어둔 게 정말 의미 있기를 바랍니다. 

 

그냥영어개인과외홈페이지
그냥영어개인과외 신청 홈페이지

 

 

 

15. Modal Verbs 조동사 느낌을 살리고 살리고 ~~~

modals =>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라고 말한다. 사전 용어를 찾아보면, 도울 조[助]를 써서 보조동사를 의미한다. 보조동사란, 의미있는 일반동사의 풍미를 더 살려준

learninglanguage.tistory.com

 

 

16. 조동사 Can VS. Could 비슷하면서도 늬앙스가 다르다?

지난 시간에는 Can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못보셨다면 아래 클릭하여 강의 꼭 보고 오세요. 15. Modals 조동사 느낌을 살리고 살리고 ~~~ modals =>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

learninglanguage.tistory.com

 

 

17. could VS. was/were able to do 엄연히 다른 뜻?

1. 시제일치: Could + VR(동사원형) 2. 공손한표현 3. Could + have + p.p. : 후회와 아쉬움을 나타내는 과거표현 4. 가정법 ---> 가정법할 때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5. was/were able to VR 지난시간에 16강에서 coul

learninglanguage.tistory.com

 

 

18. 추측의 could 의미와 may,might 소심한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추측] 1) It could be a vase. : 꽃병인거 같은데. 2) Kim's plane could arrive early. : 김씨의 비행기가 일찍 도착할지도 몰라. 3) That could be true. : 그거 사실일지도 몰라. 4) I could be late tonight. : 오늘밤 나 늦을

learninglanguage.tistory.com

 

 

19. 조동사 must '반드시 ~ 해야 한다'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조동사(modal verbs) must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 must 1. I'm sure 1) You must be joking.(≒You are joking.) : must보다는 be동사를 쓰는 것이 좀 더 formal한 느낌의 문장이 되기도 한다.

learninglanguage.tistory.com

 

 

20. 조동사(modal Verbs) should VS. had better 어감이 다르다?

should라는 조동사를 알아보기 앞서, 아래 should, must, had better 의 느낌을 먼저 살펴보고 가 볼게요. * 먹는것 좀 줄여야겠다. (먹는것 좀 줄여.) --> You should eat less. (상대에게 거부감 없이 말을 건네

learninglanguage.tistory.com

 

 

21. 조동사 should가 생략되어도 의미는 should가 숨어 있다!

should에 대해서 재미난 현상을 하나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아래 두 가지 경우에 that이하의 주절의 동사는 VR(동사원형)을 사용해준다는 겁니다. 그 이유는 should라고 하는 조동사가 생략이 되어

learninglanguage.tistory.com

 

 

22. 조동사의 과거 이렇게 만들면 된다.

정말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 그동안 개인적으로 많은 일이 있어서 피곤을 핑계로 내일을 모레로 모레 처리해야 할 일을 일주일 뒤로 계속 미루다보니 저도 ㅠㅠ 10월 한달 계속 게을리하고

learninglanguage.tistory.com

 

 

23. 다양한 조동사(can, may, must, will만 조동사가 아니야)

정말 오랜만에 글 올려봅니다. 이사한다고 한동안 정신없이 물건도 정리하고 일도 정신없이 처리하고 ㅎㅎ ^^; 이제 정신차리고 컴백했습니다. 오랜만에 글쓰러 오니 제 자리로 온 것 마냥 기분

learninglanguage.tistory.com

다 보셨다 생각하고(진짜 다 보고 오셔야 합니다!!), 우리가 말의 화법을 한번 들여다봅시다. 

크게 아래와 같이 3가지로 표현할 수 있어요. 

 

<화법 3가지>

 

1. 명령법 : Come back home!

2. 직설법 : You must come back home.

3. 가정법 : Would you please come back home?

   --> 겸손, 공손, 소심한 말투

 

1번은 너무나 쉽게 아실 겁니다. 동사를 문장 맨 앞에 두고 명령식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동사가 문장 맨 앞에 왔다고 해서 무조건 명령문은 아닙니다. 바로 아래 예문으로 보여드릴게요. 양보의 의미, 즉 가정법의 뉘앙스로 사용하는 말로 쓰인다는 사실을요. 2번은 must라는 조동사를 사용해서 직설적으로 사용한 말투입니다. 3번이 소심하고, 그래서 공손한 어투인 가정법에서 사용할 어투가 됩니다. 

 

자, 동사가 문장의 맨 앞에 와서 사용하더라도 두 가지로 나뉩니다. 아래처럼 명령문과 양보 문으로요. 양보의 의미는 남에게 배려하는 그 양보의 의미입니다. 그래서 공손하고 조심히, 예의 바르게, 돌려서 말하고 싶을 때 쓰는 화법이 되는 겁니다.

 

 

<명령법 해석>

1. 명령조 : ~해라

★ 2. 양보 : ~할지라도

 

ex) 예문 비교

1) Come back home. : ~와라. (명령조)

2) Come what may : 어떤 일이 올지라도 (양보의 의미)

3) Cost what it may, I'll buy the one. : 돈이 얼마가 되더라도 나 그거 꼭 살 거야.(양보의 의미) 

4) No matter what : 무엇이든지 간에(직설법인 It doesn't matter 문장의 가정법)

 

어때요? 느낌이 오시나요? 

2)번과 3)번 문장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미 조동사에서 언급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May you live longer.이라는 문장 기억나시나요? 꼭 의문문처럼 생겼지만 아닙니다. 기원문입니다. 간절한 소망의 의미가 담긴 문장으로 '오래오래 사세요.'라는 표현입니다. 새해 때 나이 지긋하게 드신 어르신에게 편지에 남기면 좋을 만한 문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이렇게 동사를 앞으로 확 ~ 빼면 강조의 뉘앙스가 됩니다. 원래는 you may live longer.로 쓰인 문장이었습니다. may는 조동사 중에서도 가장 소심한 뉘앙스였잖아요. 그러니까 may가 가장 예의가 있어 보이는 겁니다. 그래서 Can I help you? 보다는 남녀노소 대중적으로 많이 놀러 가는 호텔에서 May I help you? 를 사용하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그럼 What may come, What it may cost로 시작을 했을 겁니다. come과 cost라는 동사를 문장 맨 앞으로 가져가서 더욱더 소심하게 예의 바르게 추측성 발언으로 즉, 가정의 의미로 말을 하고자 할 때 얼마든지 쓰일 수 있는 문장의 구성이라는 것입니다.

 

아래 예문을 통해 좀 더 연습문제로 풀어보겠습니다.

 

1. He may go anywhere.

2. He may be poor.

 

위 두 문장을 가지고 직설법의 양보구문과 명령법의 양보구문을 만들어보겠습니다.

 

1. 1) No matter where he may go. ▶ 직설법(양보) : 그가 어디를 가든지 간에

   2) Go where he may.                  명령법(양보) 

 

2. 1) No matter how poor he may be. 직설법(양보) : 그가 아무리 가난하다 할지라도

    2) Be he ever may so poor.            명령법(양보)

       : ever so는 강조하여 표현해 준 말

 

그럼, 가정법의 뉘앙스를 느껴봤으니, 다음 시간에는 if의 가정법 낱낱이 파헤쳐 보기로 해요. ^^

 

그냥영어개인과외홈페이지
가정법 쉽게 이해하기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