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혼자영어공부
- 영어듣기
- 영어문법
- 수동태
- 영어회화공부
- 준동사
- 영어리딩
- 영어동영상강의
- Could
- 영어회화연습
- 영어공부독학
- 영어학습법
- 관계사who
- A long walk to water
- to부정사
- 기초영문법
- 영어원서읽기
- if이외의가정법
- 미래시제
- 미드영어
- 영어듣기공부
- 영어구조
- 조동사
- 미드영어공부
- 영어스피킹
- 영어스피킹연습
- 찐제인쌤
- 영어스피킹 독학
- 기초문법
- 영어듣기연습
- Total
- Today
- Yesterday
그냥영어
20. 조동사(modal Verbs) should VS. had better 비교 뜻이 다르다? 본문
should라는 조동사를 알아보기 앞서, 아래 should, must, had better의 느낌을 먼저 살펴보고 가 볼게요.
* 먹는 것 좀 줄여야겠다. (먹는 것 좀 줄여.)
▶ You should eat less. (상대에게 거부감 없이 말을 건네주기에 가장 좋은 표현)
▶ You must eat less. (절대 ~ 해야 된다는 느낌으로 "먹는 것을 줄이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다"라는 표현)
▶ You'd better eat less. (먹는 것 좀 줄여라, [안 그러면........] 대괄호의 암시적인 말투처럼 "만약 먹는 것을 안 줄일 경우, 무슨 위험이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느낌의 표현)
대강 이번 시간에 무엇을 얘기드릴지 감이 오시나요? ^^ ㅎ 자세히 이제 설명해 볼게요.
조동사 should, shal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hould> : 당연, 당위성의 충고표현이다. 절대 의무표현이 아니다.
▶ the right thing to do, the good thing to do의 사전적 의미가 있어요.
1. 시제일치(조동사의 공통사항)
2. 공손한 표현(조동사의 공통사항)
3. 가정법
4. 당연, 당위의 표현 :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마땅하다. / 추측(possibility) : 분명히 그럴 겁니다.
4. should는 센말이 아니므로 상대에게 충고나 조언 같은 말투는 should를 사용해주면 좋다.
ex) The government should do more. : 정부가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마땅하다.)
You should study harder. : 네가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한다고 생각해.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야.)
We should protect nature. : 우리는 자연을 보호해야 합니다.
부정 : Shouldn't ==> 하면 안 돼.
ex) You shouldn't run. : 뛰면 안 돼. (상황을 언급하자면, 가령 아기들이 뛰려고 하는데 넘어지면 큰일 나니까 아기 엄마들이 조심히 하자는 의미에서 아기들한테, "뛰면 안 돼. 조심해야지."라는 말투로 사용할 수 있겠다.)
5. Should 예문 더보기
1) I think we should take a train. ▶ 기차로 가야 될 것 같은데요.
2) You should send him a car. ▶ 아마도 네가 그 사람을 차로 보내야 될 것 같아.
3) They should be finished. ▶ 곧 끝날 것 같아요.
4) It was nice meeting(to meet) you. You should be hearing back from us in a week.
▶반가웠습니다. 아마 곧 일주일 후에 연락이 갈 겁니다.
이제 should의 느낌이 드시나요? 부드럽게 상대방에게 적당한 충고, 조언 등을 기분 나쁘지 않게 전달해주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보조동사라고 이해하시면 될 겁니다.
그럼, shall은 어떤 느낌인지 궁금하시죠? shall은 현대사회에서도 많이 사용하긴 하지만, shall 대신에 should를 대체해서 사용하는 느낌입니다. 'Shall we dance'라는 예전에 일본영화가 있었는데, 영화 제목이 이랬습니다. 이렇게 shall이 의문문에 일부 남아서 상대에게 공손하게 물어볼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Shall - Should의 관계>
You shall open your mouth. : 내가 너의 입을 열어주겠다. 입이 열릴 것이야. (하느님의 말투)
It shall be open. : 열릴 것이다.
It shall be given. : 얻을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shall은 절대적인 힘이 느껴지는 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현대에서는 shall을 잘 쓰지 않는 편이라고 해요.
bible(성경책)이나 law(법전)에서는 shall을 쓰는데 법에서도 shall 구문을 많이 빼는 추세라고 하네요. 저는 교회인도 아니고 영어법전을 본 적이 없어서 귀동냥으로 들은 바로 적어봤습니다. ^^ 참고만 해주시면 좋을 듯하네요.
마지막으로, should의 친구 had better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had better 많이 아시기로는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라는 의미로 많이 알고 계십니다. 그래서 좋은 의미로 받아들이고 실제 사용해보려고 상대에게 조언을 해주고 싶은 마음에 외국인에게 다가가 이 had better을 많이 사용했다고 해요. 그랬더니 그 외국인이 상대방(조언해준 한국인)을 오해하고 언짢은 표정을 짓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 그 오해는 풀리긴 했지만요. 왜 외국인은 언짢아했을까요? 바로 should와 had better의 서로 다른 뉘앙스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 예문을 통해서 한번 살펴볼까요? ^^
<Should VS had better>
* had better : 만약에 하지 않으면 무슨 위험이나 문제가 일어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You'd better do it or else. (내가 시키는 대로 하는 게 좋을 거야. 안 하면 알지?)
▶ You'd better wear a coat. : 코트 입어야지. (내 말 안 듣고 코드 안 입고 나갔다 오면 감기 걸린다.)
이제 분명한 차이를 아셨죠? should와 had better의 뉘앙스 차이가 이렇게 있다는 사실을요.
그럼, 다음 시간에 should에 대해서 더 살펴볼게요. 아직 should에 대해서 할 얘기가 남아 있답니다. ^^
'영어기초문법 1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조동사의 과거(would/should/could/might have pp) (0) | 2022.10.30 |
---|---|
21. 조동사 should가 생략되어도 의미는 should가 숨어 있다! (0) | 2022.10.06 |
19. 조동사 must '반드시 ~ 해야 한다'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0) | 2022.10.06 |
18. 추측의 could 의미와 may, might 여러가지 뜻과 용례 완전정복! (may well, may as well 표현 포함) (0) | 2022.10.04 |
17. 과거 의미의 could와 be able to do 한번에 비교! (0) | 2022.09.29 |